생활정보 / / 2024. 12. 31. 22:36

2025 최저시급 최저임금 월급 연봉 계산방법 계산기

    2025년부터 인상된 최저시급이 적용되는데요. 1월 1일부터는 얼마의 최저시급을 받을 수 있는지 월급으로 계산했을때는 얼마가 되는지 함께 알아볼게요. 

     

    자동목차

     

     

    2025년 최저시급은 얼마?

    2025년 최저시급은 2024년 대비 170원 인상된 10,030원으로 결정되었습니다.

     

    2025년 최저시급은 2025년 1월 1일 부터 12월 31일까지 적용됩니다. 

     

    최저시급

     

     

    2025년 최저임금 월급 계산하기

    2025년 최저임금을 계산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최저 임금에 하루 일하는 시간을 곱하면 되는데요.

     

    일급의 경우 하루 8시간 일한다면 10,030원 x 8시간 = 80,240원의 일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2025년 최저 월급은 얼마가 될까요?

    최저 월급은 한달근무시간 x 최저시급으로 계산할 수 있는데요. 그런데 여기에 주휴수당도 함께 포함하게 됩니다.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고 만근을 하는 경우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일주일에 6일의 임금을 받게되는 셈입니다. 

     

    일주일 근무시간이 8시간 x 6일 = 48시간이되며, 1달 근무시간은 일주일 근무시간 x 주수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때 어떤 달은 4주, 어떤 달은 5주가 되어 매달의 주수를 평균으로 계산하게 됩니다.

     

    따라서 365 ÷ 12개월 ÷ 7 = 4.35주가 됩니다. 

     

     

    한달 근로시간은 48시간(일주일 근로시간) x 4.35주 = 209(208.8올림)시간이 됩니다.

     

    따라서 최저 월급은 10,030원 x 209시간 =  2,096,270원이 됩니다. 

     

    <2024년 최저월급 계산흐름>

    ✅일주일 근로시간 8시간 x 5일 + 8시간(주휴일) = 48시간
    월별 평균 주수 365 ÷ 12개월 ÷ 7 = 4.35주
    ✅한달 근로시간 48시간 x 4.35주 = 209시간
    2024년 최저월급 10,030원 x 209시간 = 2,096,270원

     

    다시말해 주 5일, 일 8시간 근무한 경우 2024년 최저 월급은 2,096,270원이 됩니다!

     

     

    2025년 최저임금 연봉 계산하기

    2025년 최저연봉은 월금에 12개월을 곱하면 되는데요. 2,096,270원 x 12개월 = 25,155,240원이 됩니다. 

     

     

    지금 말씀 드린 금액은 세전금액이되며 4대 보험 등 세금을 제외한 세후 금액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연봉 계산기를 이요하는 것이 편리한데요.

     

    아래 링크를 통해 2025년 최저임금 연봉 세후 금액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최저임금이 적용되는 사업장 기준

    법적 최저임금은 근로자 1명 이상인 모든 사업 또는 사업장에 적용이 됩니다. 

     

     

    따라서  근로기준법상 근로자인 정규직, 비정규직, 파트타임, 아르바이트, 청소년 근로자, 외국인 근로자에게 모두 적용되어야 합니다. 

     

     

    최저임금에 미달하는 임금을 지급한 경우 처벌은?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지거나, 이 두가지의 벌칙을 같이 받을 수도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최저임금 위반상담은 국번없이 1350번으로 하면 되며 위반신고는 사업장을 관할하는 지방고용노동청에 신고하면 됩니다. 

     

     

    함께 보면 좋은 정보

    주휴수당 조건 지급기준 및 계산방법 계산기 알아보기!

     

    주휴수당 조건 지급기준 및 계산방법 계산기 알아보기!

    알바생의 경우 주휴수당을 받지 못해 속상한 경우가 있을텐데요. 이글을 통해 주휴수당 조건 지급기준과 얼마를 받을 수 있는지 계산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시고 주휴수당 받을 권리 꼭 챙

    dreamdream00.com

     

    연차 개수 및 연차수당 계산하기(계산기)

     

    연차 개수 및 연차수당 계산하기(계산기)

    직장인들은 바쁜 업무로 모든 연차를 쓰기란 쉬운 일이 아닙니다. 최근에는 연차휴가 사용촉진제가 시행되면서 남아 있는 연차에 대해 연차수당으로 보상받기도 쉽지 않습니다. 본인 근속연수

    dreamdream00.com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